2014년 1월 16일 목요일

[한국교육웹진 2013 / Vol. 40 No. 4] 학술지 「한국교육」에 대한 평가와 과제


학술지 한국교육에 대한 평가와 과제 / 고전 김영옥, 박병기
An Evaluation of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and its Future Tasks / Jeon Ko, Young-Ok Kim, Byung-Gee Bak,

한국교육, 제40권 제 4호, pp.239-270 /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4), 239-270
Received 31 October 2013: Revised revised: Accepted 11 December 2013


국문초록
   이 논문은 학술지 「한국교육」(제1호(1974)∼제40호(2013))에 대하여 그 학술적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하여야 할 과제를 모색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먼저 이 학술지의 발간 배경과 과정을 개관하였고 그 성격을 진단하였다. 우선 이 학술지의 발간 규정에서 표방하고 있는 세 목적(1. 한국교육의 발전에 기여 2. 교육정책 관련 지식과 정보의 발전 및 교류 촉진 3. 한국교육정책 개발에 기여할 지적 기반의 확보)에 비추어 그 달성 성과를 논의하였다. 이어 이 학술지의 편집 및 발간에 있어서 특징과 관련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국책연구기관 학술지로서 특징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및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학술지와의 비교 통해 논의하였으며, 종합학술지로서의 성격에 대하여 한국교육학회와의 비교를 통해 논의했다. 보다 구체적인 학술지의 문제점 진단을 위하여 학술지의 주요 수요자이자 관계자였던 최근 6년 동안의 투고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회수 152건)를 실시하였고, 한국교육개발원 내외의 전임 편집위원을 대상으로 검토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교육』에 대한 이해도 및 기대수준, 문제인식, 개선방안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으로서 향후 학술지 『한국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개선 과제는 첫째로는 교육학 정론지로서 위상 확립 측면에서, 둘째로는 국가 교육정책연구 주무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 기관 학술지로서 역할 측면에서,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학자․연구자․교육현장 간의 교류 및 국제교류의 매개체로서의 기능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키워드
한국교육, 한국교육개발원, 학술지, 학문적 정체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ademic productivity of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JKE) and to suggest the tasks that lie before it in the future. To begi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is journal, including objectives and processes, were reviewed briefly. The JKE has three official objectives: 1)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2) to accelerate the advance and exchan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education policy, and 3) to establish an intellectual foundation to contribute to Korean education policies. The strengths and the weaknesses of this journal were examined with a focus on the procedures of submission, acceptance, publication, and quality control.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journals that shared certain characteristics with the JKE: journals published by governmental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s such as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a journal that covered comprehensive issues of education, published by Korea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 in-depth analysis of the JKE. Targeted populations were the contributors to the JKE and members of the editorial boards of the JKE; one hundred and fifty-two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survey. In addition to the survey data, comments were collected from former editorial board members. Through these processes, the current status of the JKE and expectations for it were identifie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improvement of the JKE focused on three goals: 1) to ensure the journal’s status as a main educational journal; 2) to fulfill its role as an institutional journal of KEDI, a primary government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organization; and 3) to function as a mediator between scholars, researchers, schools, and other figures in education in Korea.
KEYWORDS
Korean education, KEDI, academic journal, academic identity,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한국교육웹진 2013 / Vol. 40 No. 4] 학술지 「한국교육」논문의 연구동향 분석(1974-2012)


학술지 한국교육논문의 연구동향 분석(1974-2012) / 신현석, 가신현, 이경호, 주영호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1974-2012 / Hyun-Seok Shin, Shin-Hyun Ka, Kyungho Lee, Young Hyeo Joo,

한국교육, 제40권 제 4호, pp.207-238 /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4), 207-238
Received 31 October 2013: Revised revised: Accepted 3 December 2013


국문초록
   이 연구는 학술지 「한국교육」에 수록된 논문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발전과제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연구목적, 연구분야, 연구방법, 연구지향성, 연구출처 등 다섯 가지 분석 준거를 마련하고, 이와 함께 10년을 단위로 하는 시대별, 등재지 운영 시점별, 10권을 단위로 하는 권호별로 구분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1974년 창간호부터 최근 2012년까지 게재된 연구 가운데 시론, 관점과 주장, 서평 등을 제외한 순수 학술논문 853편이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학술연구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0년대 이후 계속해서 50%를 상회함으로써 교육 현실에 대한 처방과 실제가 강조되고 있다. 둘째, 「한국교육」의 게재 학술논문은 교육학 전 분야를 포괄하고 있으나 그 가운데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는 교육행정 영역이다. 셋째,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이며, 최근 3년간에는 고급추리통계를 활용한 연구가 급증하고 있다. 넷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 교육 실제를 대상으로 한 연구라 할지라도 정책적 제언을 포함하지 않거나 정책연구로 분류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지의 정체성과 성격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발전과제를 제시하였다.
키워드
연구동향, 연구목적, 연구분야, 연구방법, 연구지향성, 연구출처,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ABSTRACT
  This study reviews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JKE) over a period of 39 years, from 1974 to 2012. For the analysis, five analytical criteria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research goal, research them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research orientation, and sources. 853 academic article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by decade, by period index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and by volume (in sets of 10 volumes). Results indicate that, first, the proportion of papers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field and papers proposing improvements in the field has increased steadily. Second, while the JKE has covered the domain of education studies comprehensively, studies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ve been dominant. Third, literature reviews have been adopted as the most popular research method, and the number of papers that have applied advanced statistical inference methods has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last three years. Lastly, there have been numerous papers that have dealt with education issues but have not offered sufficient policy implications or cannot be properly identified as education policy studies.
KEYWORDS
research trends, research goal, research theme, research method, research orientation, KEDI, Journal of Korean Education

[한국교육웹진 2013 / Vol. 40 No. 4] 국가교육위원회 구상의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국가교육위원회 구상의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 김용일
An Examination of the ‘National Committee on Educational Policy’ Agendas / Yong-il Kim

한국교육, 제40권 제 4호, pp.187-205 /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4), 187-205
Received 31 October 2013: Revised 18 December 2013;: Accepted 23 December 2013


국문초록
   이 연구는 그간 다양하게 제기되어온 국가교육위원회 관련 구상들을 유형화하여 각각의 특징을 드러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⑴ 국가교육위원회 구상의 대두 맥락을 살펴본 다음, ⑵ ‘법적 근거 요구 수준’과 ‘주무부처와의 관계’ 등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유형 분류를 한 뒤 그 특징을 살펴보고 있다. 관련 자료와 선행연구 검토 등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교육위원회 구상은 1990년대 중반 교육행정체제 개편 차원에서 맹아적 논의가 이루어지다 2002년부터 체계화되어 대선 의제로 자리 잡게 된다. 둘째, 기존의 다양한 국가교육위원회 구상들은 [유형 1] 행정부 보완형 정책 자문・심의기구, [유형 2] 비판・견제형 정책 총괄 기구, [유형 3] 국가 차원의 독립 기구, [유형 4] 헌법기구 등으로 유형 분류가 가능하였다. 셋째, 국가교육위원회 구상은 교육정책에 관한 입법부와 사법부의 기능 회복 내지 활성화 과제와 관련이 있어 보다 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사안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키워드
국가교육위원회, 대통령선거 공약, 교육부, 교육정책 총괄기구, 사회적 합의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s of the ‘National Committee on Educational Policy'(NCEP) agenda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examines the contexts in which the NCEP agendas were proposed and classifies them according to two criteria: the level of demand for legal grounds and the NCEP's relationship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CEP agendas were first proposed as educational administrative reform agendas from the mid-1990s, and they have been positioned as presidential campaign promises since 2002.
  Second, we can divide the NCEP agendas into four types: 1) an education policy advisory-deliberation apparatus complementing MOE, 2) a comprehensive education policy apparatus that operates as a check on the MOE, 3) a national independent apparatus for education policy, and 4) a constitutional institution for education policy. Third, as the NCEP agendas are related to revitalizing the educational policy functions of the legislature and judiciary, it is very important to approach them more prudently.
KEYWORDS
National Committee on Educational Policy(NCEP), presidential campaign promise, Ministry of Education, comprehensive education policy apparatus, social consensus

[한국교육웹진 2013 / Vol. 40 No. 4] 지방분권 개혁과 교육감의 역할과 책임


지방분권 개혁과 교육감의 역할과 책임-프랑스 사례 연구- / 박상완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Superintendent in Educational Decentralization Reform: A Case Study of France / Sang-wan Park

한국교육, 제40권 제 4호, pp.155-186 /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4), 155-186
Received 31 October 2013: Revised 9 December 2013: Accepted 16 December 2013


국문초록
   이 연구는 1980-90년대 이후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OECD 국가들에서 지방분권 개혁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지방, 학교, 학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지방교육행정의 최고 책임자인 교육감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하다는 문제인식 하에, 우리나라와 유사한 지방분권형 단일국가 체제와 중앙집권적 교육행정체제를 가지고 있으면서 1980년대 초부터 지방분권 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프랑스 교육감 제도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 및 (인터넷) 자료 분석방법을 주로 활용하되, 자료 분석·해석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프랑스 교육 전문가와 전직 프랑스 초등교사의 자문을 받았다. 분석결과, 첫째, 프랑스의 지방교육행정체제는 광역자치단체 수준에 설치된 30개의 아카데미와 중역자치단체 수준에 설치된 101개의 아카데미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조직은 위계적 관계를 갖고 있다. 교육감은 아카데미의 최고 책임자로서 일반 행정과 독립되어 지방의 국가교육행정사무를 관할한다. 둘째, 교육감은 교육부장관의 추천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정부재량 임명직이나 임명시 정치적 성향보다는 행정적, 전문적 역량, 경험, 업적 등 객관적인 요소가 중시된다. 교육감은 원칙적으로 박사학위 소지자여야 하나 전문 경력은 교육 분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현직 교육감들은 대체로 대학교수, 고위 행정관료 출신들로 전문 분야는 다양하다 셋째, 교육감은 아카데미 내에서 중앙정부(교육부장관)를 대표하는 동시에 아카데미(지방교육)의 최고 책임자라는 이중적 지위, 역할을 갖는다. 아카데미 내에서 교육감은 유아교육부터 고등교육까지 책임지며, 국가와 계약 하에 있는 사립학교, 교원연수, 평생교육을 관할하며,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을 연계·조정한다. 지방분권 개혁으로 교육감의 권한과 책임은 확대되고 있는데, 교육감은 관할구역(아카데미)내에서 국가 교육정책을 실행하는 동시에 지방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한 아카데미 교육계획을 수립하고 이러한 교육계획이 하급 지방교육행정기관과 일선 학교에 일관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방분권 확대에 따른 교육감의 역할, 교육감의 전문적 자질과 역량, 이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 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 제시하였다.
키워드
교육분권, 행정분산, 지방교육행정체제, 교육감, 아카데미

ABSTRACT
  As educational decentralization reform has prevailed among most OECD countries since 1980-90s,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local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are becoming crucial in ensuring quality education at the local level.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French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France is one of the western countries which have central government-oriente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like Korea, and thus both countries have similar education politics and governance systems. This study shows that French local education authorities are composed of 30 academies (a large local administrative unit) and 101 academie offices (a mid-level local administrative unit), and these local education organizations are hierarchical. The superintendent (recteur) is the head of the academie. Superintendents are designated by the president with the recommendation of the minister of edu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ir professional and academic careers. It is advisable to hold a doctorate, but candidates’ professional career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ield of education. Finally, the French superintendent has a dual position as a representative of the central government (i.e. the Ministry of Education) at the local level and as the head of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 the academie. Several policy implications were drawn, and these could be applied to the reformation of superintendent qualifications, the election system and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 Korea.
KEYWORDS
educational decentralization, deconcentratio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system, superintendent, académie
요즘

[한국교육웹진 2013 / Vol. 40 No. 4] 한국 학부모 교육열의 정책적 시사점과 새 연구 방향과 탐색


 한국 학부모 교육열의 정책적 시사점과 새 연구 방향과 탐색 / 이종각
An Examination of Policy Implications of and New Directions in Research on Educational Enthusiasm in Korea / Jong Gak Lee

한국교육, 제40권 제 4호, pp.121-153 /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4), 121-153
Received 31 October 2013: Revised 16 December 2013: Accepted 23 December 2013


국문초록
   본고는 교육열의 정책적 의미와 시사점을 분석하고 교육열에 대한 정책연구의 새 방향을 탐색한다. 학부모의 교육열 행동이 정책에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교육정책의 성패와 효과는 매우 달라질 수 있는 만큼 교육열은 교육정책에서 아주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교육행정과 정책의 시각에서 교육열을 어떻게 보고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분석과 논의는 거의 없다. 본고는 학부모의 정책대응 행동의 기저에는 교육열이 깔려 있고, 교육열은 학부모 행동의 원천 에너지이며, 학부모의 행동에 일관성을 갖게 하는 힘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중시한다. 
  본고는 교육열의 개념정의와 설명방식이 정책연구자들의 관심을 끌만큼 교육제도나 정책과 교육열과의 상호 관련성을 매력적으로 진술하지 못한 점을 문제로 인식하고, 그 상호관련성을 분석적으로 묘사하여 단계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작업을 한다. 이 상호 관련성에 대한 논의는 교육정책에 대한 교육열의 영향과 기능을 중심으로 전개한다. ‘인식방향이 연구와 정책의 방향을 결정한다’는 전제를 받아들이고 교육열에 대한 인식(긍정-부정)과 정책(승화-억제)의 관계 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했다. 이어서 연구와 정책개발의 걸림돌인 부정적 인식을 탈피하기 위한 3가지 작업, 즉 교육열의 바탕(즉, 부모-자녀관계)의 특수성 인정, 교육열책임론의 비민주성 이해, 교육열3층구조모형 이해의 작업을 했다.
  나아가 교육열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바탕을 둔 ‘공공적 승화’를 위한 방법을 논의한다. 한국사회가 이미 글로벌정보사회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남아있는 전통사회~산업사회 시대 방식의 교육열 표출방식, 즉 교육열표출방식의 지체현상 극복을 위한 정책과제를 안고 있다. 이 정책과제의 핵심은 교육열현상판에 대한 대증요법적 정책이 아니라, 투과판의 교육열생태계의 조정 정책임을 강조했다. 
키워드
교육열, 교육열현상, 교육열3층구조모형, 교육정책, 학부모, 교육열과 교육정책과의 관계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policy implications of and new directions in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nthusiasm of Korean parents. This paper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fact that the way parents react to educational policy is based on educational enthusiasm, and that educational enthusiasm not only motivates parents to behave the way they do but also fosters consistency in parents' behaviour.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and description of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al enthusiasm and educational policy and administration. A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educational enthusiasm (positive-negative) and the orientation of educational policy (sublimation-suppression) was developed and applied on the premise that “recognition determines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policy.” Moreover, three tasks were suggested to help move away from the negative perceptions of educational enthusiasm that function as the main barrier to the development of research and policies on educational enthusiasm. 
  It was suggested that “public sublimation,” which is founded on a positive recognition of educational enthusiasm, should be shar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paper argued that policy should function to overcome the cultural lag in the expressive mode of educational enthusiasm, and that the ecosystem of educational enthusiasm needs to be readjusted.
KEYWORDS
educational enthusiasm, educational policy, expressive mode of educational enthusiasm.

[한국교육웹진 2013 / Vol. 40 No. 4] 한국의 정부주도형 교육체제의 비판과 새로운 지향점에 관한 철학적 논의


한국의 정부주도형 교육체제의 비판과 새로운 지향점에 관한 철학적 논의 / 이성호
Critique of the Government-Initiated Educational System of Korea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of its Future Orientations / Seong-Ho Lee

한국교육, 제40권 제 4호, pp.91-120 /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4), 91-120
Received 31 October 2013: Revised revised: Accepted 11 December 2013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흔히 ‘중앙집권적 권위주의적 관료주의’나 ‘관료주의적 타율’ 등으로 지칭되는 현상, 즉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교육에 관한 제반 사안들을 관장하는 체제를 ‘정부주도형 교육체제’로 규정하고, 이러한 교육체제의 문제점과 공적을 성찰해 보고, 정부주도형 교육체제와 관련된 주요 쟁점들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통해 향후 한국의 교육행정체제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한국의 정부주도형 교육행정체제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본다. 특히 이 부분에서는 정부주도형 교육이 동양적인 전통이라는 점을 서양 교육사와의 비교를 통해 부각시킨다. 다음으로, 정부주도형 교육체제의 실태를 분석하는데, 여기서는 현재 중앙의 교육부와 교육지방자치단체가 관장하고 있는 업무를 고찰함과 동시에, 정부주도형 교육체제의 공적과 문제점에 대해 논의한다. 다음 부분에서는, 시장 모형, 기업식 모형, 분권화 모형 등의 기존의 대안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끝으로, 철학적 논의를 통해 정부개입이 허용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하고 교육의 자율성을 정당화함으로써 새로운 교육체제의 지향점을 제시한다.
키워드
정부주도형 교육체제, 시장 모형, 기업 모형, 분권, 이양, 자율, 형평성, 교육의 자율, 형평성, 전문성

ABSTRACT
  I have two purposes in this paper. First, I want to present a critical review of the government-initiated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which is otherwise called ‘authoritarian bureaucracy’ or ‘bureaucratic heteronomy,’ in terms of both its contributions and problems. Second, I intend to propose a future orientation for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through its philosophical discussions.
  The paper comprises four main parts.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government-initiated educational system of Korea in comparison with the educational systems of the West. The second part is an analysis of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the focus lies upon the power and roles of bot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also upon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 The third part is a critical review of the three alternatives suggested earlier: the market model, the business model, and the decentralization model. In the last part, I endeavor to search for a new orientation for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by offering some conditions of government intervention as well as justifying the autonomy in education through its philosophical analysis.
KEYWORDS
government-initiated educational system, market model, business model,decentralization, local autonomy in education, equity, professionalism

[한국교육웹진 2013 / Vol. 40 No. 4] 대학생의 해외유학 계획: 영향 요인 분석


대학생의 해외유학 계획: 영향 요인 분석 / 전재은
Korean College Students’ Intent to Study Abroad: What Influences Their Intent to Study Abroad for Higher Education? / Jae-Eun Jon

한국교육, 제40권 제 4호, pp.63-89 /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4), 63-89
Received 31 October 2013: Revised 9 December 2013: Accepted 12 December 2013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생의 해외유학 계획과 희망 학위수준(4년제 학부 대 대학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해외유학은 정규학위과정 및 전문학교 진학을 포함하고 어학연수는 제외되었다. 연구 결과, 부모・가정배경 요인과 영어 공부가 대학생의 해외유학 계획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본인의 교육에 대한 의지와 경험이 유학 계획에 영향을 주는 것이 조기유학과 차별되는 부분이었다. 특히 특목고 출신의 학생들이 일반고 출신의 학생들에 비하여 해외유학 계획의 가능성이 낮은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해외유학 학위수준별로는 부모와 자녀의 국내 교육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또 여학생이고 이공・의약 계열을 전공할수록 학부보다 대학원 과정을 선택할 개연성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해외 선행연구와 비교・분석함으로써 이번 한국 사례 연구가 국제고등교육에서 갖는 의미와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앞으로도 이러한 한국의 고등교육 단계 해외유학에 대한 연구 축적을 통해 한국 학생의 국제이동에 대한 모델을 구축하고 국내 고등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논의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키워드
대학생, 해외유학, 고등교육, 국제교육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Korean college students’ intent to study abroad, who attend 4-yea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were used for analyses. In this data, study abroad includes attend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degrees or vocational schools, but excludes language learning programs. Findings showed that family background variables and study of Englis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students’ intent to study abroad for higher education. Interestingly, colleg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special high schools were less likely to plan to study abroad for higher education than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s. Its interpretation was provided that those from special high schools have strong chances to have high socioeconomic status from family background and have also successfully entered top universities in Korea; therefore, they may not need to raise their social status in Korean society by pursuing study abroad. With regard to the level of education for study abroad, 4-year undergraduate vs. graduate program, positive educational experiences in Korea by both parents and students, being a female, and academic major in science and technology or medicine and pharm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lan to study abroad for graduate degrees compared to undergraduate degrees. By comparing these results with the previous literature from other countries, this study provided the significance of a Korean case study i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Further research on this topic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uilding a model for Korean students’ decision to study abroad and promoting discussion on the quality of Korean higher education.
KEYWORDS
Korea, college student, study abroad, international education

[한국교육웹진 2013 / Vol. 40 No. 4] 평생교육조직의 지식경영 탐색과 군집분석


평생교육조직의 지식경영 탐색과 군집분석 / 김소현
An Exploration and Cluster Analysis of Knowledge Management in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 So Hyun Kim

한국교육, 제40권 제 4호, pp.35-61 /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4), 35-61
Received 31 October 2013: Revised 9 December 2013: Accepted 16 December 2013


국문초록
  본 연구는 평생교육조직의 지식경영에 대한 현상을 탐색하고 지식경영 실천에 의한 군집화와 그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비구조화된 면담, 조사연구이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와 우편조사를 통해 총 204개가 수집되었으며, 분석방법은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평생교육조직의 지식경영에 대해 타당도가 검증된 조사도구가 확인되었고, 둘째, 현재 평생교육조직의 지식경영에 대한 가치인식은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이는 반면, 실천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조직은 지식경영의 실천경향에 따라 동면단계, 진입단계, 도약단계, 혁신단계 집단으로 군집화 되었고 유형별로 평생교육조직의 특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경영학적 관점에서 강조되었던 과정중심의 지식경영 모형의 한계를 벗어나 전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 시스템, 네트워크, 공동체 요소가 통합된 새로운 평생교육조직의 지식경영 모형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키워드
평생교육조직, 지식경영, 평생교육조직의 군집화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phenomenon of knowledge management (KM) in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and to cluster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ir KM practi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non-structured interview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and mailed surveys, thoroughly covering 204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validated instrument for measuring KM practices of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was developed.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KM was shown to be relatively high, but the level of practice was only average. Third, the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were clustered into four sta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KM practice: the hibernation stage, the entry stage, the takeoff stage and the innovation stag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that a new KM model is needed to integrate the elements of value, system, network and community beyond the existing models emphasized by business management science.
KEYWORDS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knowledge management, clustering of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한국교육웹진 2013 / Vol. 40 No. 4] 청소년들의 Wee스쿨 참여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청소년들의 Wee스쿨 참여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손재환, 전미이, 이정주, 정주희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n Experience in Education Program in Wee School for Maladjusted Adolescents in School / Jae-Hwan Son, Mi-Yi Jeon, Jeong-Ju Lee, Ju-Hee Jeong

한국교육, 제40권 제 4호, pp.5-34 /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4), 5-34
Received 31 October 2013: Revised 18 December 2013: Accepted 23 December 2013


국문초록
 본 연구는 최근 심각성이 더해가는 학교부적응과 관련하여 위탁대안학교인 Wee스쿨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부적응으로 C지역 Wee스쿨에서 교육을 받은 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Wee스쿨 교육에 참여하기 이전과 참여하는 과정, 참여직후의 경험들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질적 면접을 실시하였고, 면접 내용을 주제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Wee스쿨 참여이전의 경험으로는 ‘학교에 가지 않아 Wee스쿨에 의뢰됨’, ‘교사 학교분위기, 또래 관계, 가족으로부터 스트레스를 경험함’, ‘부적응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대처함’ 범주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Wee스쿨 참여과정의 경험으로는 Wee스쿨을 통한 긍정적 변화요인들이 확인되었는데 크게 세 개의 범주로 확인되었다. ‘이전 학교보다 자유롭고 분위기도 좋음’과, ‘교사의 적극적인 관심과 또래들의 배려로 유대감이 회복됨’, ‘일반 학교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교과 과정이 도움이 됨’이 변화요인들이었다. 이어 Wee스쿨 참여 이후 경험을 살펴본 결과 학생들의 변화된 모습에 대한 내용을 얻을 수 있었다. 크게 세 가지 변화로 ‘나 스스로의 변화’, ‘가족이 따듯하게 변화됨’, ‘내적 통제감을 갖게 됨’이었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적용 및 연구의 의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키워드
Wee스쿨, 학교부적응 청소년, 현상학적 분석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adolescents' experience participating in Wee school. For this purpose, the qualitative interview was used with ten students who came back to their school after the program in Wee school. Data from the interview were analyzed with the method of subject analysis. As a results, their previous experiences before participating this program were categorized as the recognition for problem behavior, the experience of previous stress and the way of dealing with stress. During the program of Wee school, their experiences were revealed to 3 categories which are positive changing factors such a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school atmosphere, the personal relationship, and programs. As the result of participants' experiences after the programs, the study showed 3 categories about students' positive changes such as the perception of own changes, the changing perception about the family, and the recognition of inner control. Lastly, this study presents the application, implication, and restriction. 
KEYWORDS
Wee school, school-maladjusted adolescent, phenomenological analysis

2014년 1월 6일 월요일

[교육개발웹진 2013년 겨울호] - [KEDI 소식]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방안 탐색' 주제로 '제1차 자유학기제 포럼' 개최
한국교육개발원은 9월 26일(목) 오후 1시 30분 일산 킨텍스 제1전시관에서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방안 탐색'이라는 주제로 '제1차 자유학기제 포럼'을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포럼에서 이번 포럼은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정착 및 확산을 도모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종래의 획일적 교육의 틀에서 벗어난 창의적인 설계방안을 논의하고 탐색하였습니다.

'고등교육 질 제고 전략 수립 - 학습과정 블랙박스 조명' 주제로 국제포럼 개최
한국교육개발원은 9월 27일(금)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서울 포스트타워(중앙우체국) 10층 대회의실에서 '고등교육 질 제고 전략 수립 -학습과정 블랙박스 조명- '이라는 주제로 국제포럼을 개최하였습니다. 대학교육의 질 제고 전략 수립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주요국들의 관련 인사들을 초청하여 주요국 대학생들의 학습경험 사례를 공유하고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학습경험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대학교육의 질 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탈북학생 교육, 통일을 대비하다' 주제로 「제1회 탈북학생 교육포럼」 개최
한국교육개발원은 교육부와 공동으로 10월 15일(화) 오후 2시 한국교총회관 다산홀에서 '탈북학생 교육, 통일을 대비하다'라는 주제로 '제1회 탈북학생 교육포럼'을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포럼을 통해, 지금까지 추진한 탈북청소년 교육지원사업의 성과와 과제를 바탕으로 통일대비 교육기반 구축 전략을 모색하고, 탈북학생 교육지원사업의 발전적 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탐색' 주제로 '제2차 자유학기제 포럼' 개최
한국교육개발원은 11월 14일(목) 오후 2시 서울중앙우체국 국제회의실에서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탐색'이라는 주제로 '제2차 자유학기제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포럼에서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정착 및 확산을 도모하는 데 핵심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참여와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수업개선방안을 논의하고 탐색하였습니다.

'글로벌 교육협력을 위한 발전과제 모색' 주제로 '글로벌 교육포럼' 개최
한국교육개발원은 11월 26일(화)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한국교총회관 1층 컨벤션홀에서 '글로벌 교육협력을 위한 발전 과제 모색'이라는 주제로 글로벌 교육포럼을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포럼은 글로벌 교육협력분야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공유함으로써 세계 여러 나라들이 지향하고 있는 글로벌 교육협력의 방향을 공유하고 우리나라 글로벌 교육협력에 관한 비전을 탐색하기 위해 마련되습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교육협력분야의 최신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공유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연구자 및 정책담당자, 교육 실천가들을 위한 학술적,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며, 나아가 글로벌 교육협력 관련 국내·외 기관 및 연구자와의 네트워크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2013 한·중 교육기관평가 국제세미나 및 교육기관평가 자료·사진 전시회 개최
한국교육개발원은 11월 28일(목) 오후 13시30분부터 17시30분까지 한국교육개발원 신관 제1회의실에서 한국과 중국의 교육기관평가 전문가들을 비롯하여, 교육부, 17개 시·도교육청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과 중국의 '학교평가 및 교원양성기관평가와 미래 전망'이라는 주제로 '한·중 교육기관평가 국제세미나'와 교육기관평가 자료 및 사진 전시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국제세미나는 한국과 중국의 교육기관평가에 대한 정보 공유와 미래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 양국 간 학문교류를 통한 기관평가제도의 발전과 국제이해의 증진을 도모하고자 마련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교육기관평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교육기관평가분야 전문가들이 학술교류를 함으로써 향후 동북아 기관평가제도의 이해 증진 및 네트워크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제7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개최
한국교육개발원은 교육 관련 학회들과 공동으로 11월 29일(금)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에서 대학교수, 국책연구기관 연구위원, 관련 학회 관계자, 정부 및 교육 유관 기관 관계자, 교육전문가 등 3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제7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2005년부터 2012년까지 8개년 동안 수집된 한국교육종단연구와 2003년부터 9개년 간 수집된 1∼3주기의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데이터를 활용해 사교육, 대학입시 및 국가장학금, 진로 및 취업준비 등 9개 주제에 관해 모두 32편의 논문이 발표되어, 최근 교육분야의 주요 현안 및 쟁점들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는 담론의 장이 되었습니다.

KEDI, '2013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 대상' 社史부문 우수상 수상

한국교육개발원은 지난 12월 4일 한국사보협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The New York Festivals 등 27개 국내외 유수 기관 및 단체가 후원하는 '2013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 대상' 社史부문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우수상을 수상한 社史 '한국교육의 싱크탱크, 백년대계를 디자인하다'는 한국교육개발원 창립 40주년을 기념하여 마흔 살 한국교육개발원의 자취를 한 권의 책에 담아 펴낸 실록소설 형식의 신개념 사료집이다. 찾는 이가 드물어서 도서관 서가의 귀퉁이에 자리잡고 먼지를 뒤집어 쓴 채로 비치되어 있는 '육중한 부피'의 기존 社史 형식을 탈피하여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우리의 역사책을 만들어 보자'는 취지에 따라 제작하였다. 또한 이 책은 한국 사회 및 교육의 변화에 발맞춰 성장해 온 한국교육개발원의 역사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자 동문 및 선·후배들에게는 젊은 날의 추억을 되새겨볼 수 있는 소중한 비망록이다.

현재에 안주하기 보다는 과거의 도전과 성과에 대한 치밀한 반추를 통해 미래의 비전과 그랜드 플랜을 새롭게 디자인하고 책무를 더욱 공고히 하려는 우리들의 바람과 다짐이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 대상'이라는 영광스러운 수상으로 이어졌다.

[교육개발웹진 2013년 겨울호] - [교육통계 포커스] 2012 회계연도 시·도교육비 특별회계 세입·세출 예·결산 현황

2012 회계연도 시·도교육비 특별회계 세입·세출 예·결산 현황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조사·통계연구본부 지방교육재정특임센터싸이월드 공감
2012회계연도 세입결산액은 54조 9,341억 원으로 2011년 51조 7,030억 원 대비 3조 2,311억 원(6.2%) 증가하였고, 세출결산액은 50조 4,340억 원으로 2011년 46조 8,141억 원 대비 3조 6,199억 원(7.7%) 증가하였다. 계획변경취소, 예산절감, 지급사유미발생 및 집행잔액 등으로 발생한 2012회계연도 불용액은 1조 9,935억 원, 2011년 2조 3,792억 원 대비 3,857억 원(△16.2%) 감소하였다.
가. 2012년 세입결산 : 54조 9,341억 원
2012년 세입결산액은 54조 9,341억 원으로 중앙정부 이전수입 39조 3,985억 원(71.7%),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9조 633억 원(16.5%), 지방자치단체 교육비특별회계 부담수입 6조 3,405억 원(11.5%), 주민(기관 등) 부담 등 기타 979억 원(0.2%)으로 구성되었다.

- 내국세 총액의 일정비율(20.27%)1)과 교육세 전액으로 구성된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국고 보조금으로 구성된 중앙정부 이전수입 결산액은 세입결산액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1.7%로 전년(70.2%)보다 다소 높아졌다.

- 일반자치단체에서 지방세 징수액 중 일정비율2)(지방교육세, 담배소비세 및 시·도세)을 전출하는 지방세와 개발지역 내 학교신설 시 광역자치단체가 부담해야 하는 학교용지일반회계부담금과 일반자치단체에서 관할구역 내 교육·학예 진흥을 위하여 지원하는 비법정이전수입으로 구성된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결산액은 총결산액 대비 16.5%로 전년과 변동 없다.

- 입학금 및 수업료, 각종 사용료 및 수수료, 자산 매각 및 임대수입, 예금이자수입, 기타 잡수입 및 이월금 등으로 구성된 지방자치단체 교육비특별회계부담수입 결산액은 총결산액 대비 11.5%로 전년(13.1%) 보다 감소하였다.

-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협회 및 단체 등에서 지원하는 주민(기관 등) 부담 등 기타 수입 결산액은 총결산액 대비 0.2%로 나타났다.
나. 2012년 세출결산액 : 50조 4,339억 원
2012회계연도 정책사업별 세출결산은 인건비성 경비인 인적자원운용 26조 852억 원(51.7%), 공·사립학교 회계전출금 등인 학교재정지원관리 9조 4,560억 원(18.7%), 학교교육과정운영지원 경비인 교수-학습활동지원 4조 4,426억 원(8.8%), 학교신설 등 시설사업 경비인 학교교육여건개선 시설비 4조 1,829억 원(8.3%), 저소득층 학비 및 급식지원 경비인 교육복지지원 2조 9,397억 원 (5.8%) 등으로 나타났다. 학교교육여건개선시설비(4조 1,829억 원, 8.3%)는 전년(4조 2,430억 원, 9.1%) 대비 투자액과 비중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회계연도 시·도교육비특별회계 성질별 세출결산액은 인건비 29조 9,150억 원(59.3%), 학교 지원 11조 8,998억 원(23.6%), 자산취득 5조 2,243억 원(10.4%), 물건비 1조 4,940억 원(3.0%), 이전지출 9,944억 원(2.0%), 상환지출 8,986억 원(1.8%), 예비비 및 기타 78억 원(0.02%)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 교육행정기관 및 각급학교의 정규직 및 비정규직 보수 등인 인건비 세출결산액은 29조 9,150억 원(세출결산액 대비 59.3%)으로 전년 28조 909억 원(세출결산액 대비 60.0%)대비 1조 8,241억 원(6.5%) 증가하였고,

- 공·사립학교 학교회계전출금(인건비 및 시설사업비 제외) 등인 학교지원 세출결산액은 11조 8,998억 원(세출결산액 대비 23.6%)으로 전년 10조 910억 원(세출결산액 대비 21.6%) 대비 1조 8,088억 원 (1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위학교 자율성과 책무성 제고를 위한 지원과 토·공휴일 무상급식지원 확대(지방자치단체 일반회계로 교부) 등에 기인한 결과로 보인다.

- 학교교육여건개선을 위한 학생수용시설, 학교일반시설, 교육환경개선시설과 교육행정기관시설 및 기타 일반사업의 시설사업비 및 자산취득비 등인 자산취득 세출결산액은 5조 2,243억 원(세출결산액 대비 10.4%)으로 전년 5조 1,679억 원(세출결산액 대비 11.2%) 대비 564억원 (1.1%) 증가하였다.

- 교육행정기관 운영비, 여비, 업무추진비 등인 물건비 세출결산액은 1조 4,940억 원(세출결산액 대비 3.0%)으로 전년 1조 3,433억 원(세출결산액 대비 2.9%) 대비 1,507억 원(11.2%) 증가하였다.

- 민간에 대한 보상 및 보조, 일반자치단체에 대한 보조사업 및 민간위탁사업 등인 이전지출 세출결산액은 9,944억 원(세출결산액 대비 2.0%)으로 전년 4,847억 원(세출결산액 대비 0.9%) 대비 5,097억 원(105.2%)이 대폭 증가하였는데, 이는 교육행정기관에서 직접 집행하던 일부 사업(학비지원 등)과 자치단체 보육료 보조 등이 포함됨에 따라 전년 대비 증가하였다.

- 지방교육재정 채무 및 의무부담행위 등인 상환지출 세출결산액은 8,986억 원(세출결산액 대비 1.8%)으로 전년 1조 5,593억 원(세출결산액 대비 3.3%) 대비 6,607억 원 (△42.4%) 감소하였다.

- 예비비 집행액과 국고보조금 및 지방자치단체 보조금, 기타지원금 등 집행 잔액의 반납금 등인 예비비 및 기타 세출결산액은 78억원(세출결산액 대비 0.02%)으로 전년 770억 원(세출결산액 대비 0.2%) 대비 692억 원(△89.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 내국세 총액의 일정비율(내국세분 교부금) : 2007년(19.4%) → 2008년(20.0%, 국고사업 지방이양에 따른 조정) → 2010년(20.27%, 지방소비세 도입에 따른 조정)
2) 내국세 총액의 일정비율(내국세분 교부금) : 2007년(19.4%) → 2008년(20.0%, 국고사업 지방이양에 따른 조정) → 2010년(20.27%, 지방소비세 도입에 따른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