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 단위 평생학습생태 촉진정책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양은아
An Exploratory Study on Promotion of Metropolitan Lifelong Learning / Eun-A Yang
한국교육, 제40권 제3호, pp.97-131 /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3),97-131
Received 29 August 2013; Revised 11 October 2013; Accepted 21 October 2013
초록
지금까지 평생학습도시 정책과 연구는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지만, 점차 그 범위를 넘어 ‘광역도시’를 새로운 표준으로 하는 학습도시의 경계와 정책표준이 개발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우선 최근 광역 단위 학습도시를 선언한 울산시를 사례로, 지역의 평생교육기관들이 요구하는 광역평생학습도시 정책의 범주와 성격을 조사하였다. 우선 이 지역 평생교육기관 전체(187개)에 대한 광역평생학습도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가운데 64개 핵심기관을 재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조사는 평생교육 공급체계의 핵심기관으로서의 평생교육기관이 인지하는 광역평생학습도시란 무엇이며, 이들이 요구하는 정책방향이 광역 단위에서 어떻게 구조화될 수 있는지를 밝혀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 결과 (1) 확장된 파트너십과 네트워킹 광역화, (2) 광역 단위의 정례적 통계 및 연구, (3) 광역 차원에서의 학습 기회 확대 정책, (4) 학습도시 관련 주체의 다양성 수용, (5) 소외의 방지 및 사회 통합 강화, (6) 사회적 활용처의 발굴 및 연계, (7) 인적자원의 육성과 핵심역량 강화라는 7가지 영역에 따른 19가지 세부 추진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광역 단위 평생학습생태를 확장하기 위한 정책적인 발전전략들을 제언하였다.
키워드
평생학습도시, 광역평생학습도시정책, 평생교육기관, 정책방향 및 추진과제, 발전전략
ABSTRACT
The “lifelong learning city” policy has been in place at the municipal level for the last decade. Recently, an integrated model for the “learning city” on the metropolitan level has emerged, ushering in a new phase in this practice and policy. Accordingly, new logic and guidelines are urgently needed to set the boundaries and standards of metropolitan learning cities. This study is a need assessment and policy analysis conducted by investigating the case of Ulsan Metropolitan City. For this, a comprehensive survey of the 187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ithin the metropolitan boundaries was conducted, with supplementary interviews of 64 of these institutions. As a result, seven key policy categories were established: (1) extended partnership and networking, (2) regular monitoring and need assessment, (3) increasing learning opportunities, (4) multiple layers of learning city stakeholders, (5) social cohesion, (6) employability, and (7)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core competence. This study also proposed a series of extended strategies and plans to help promote metropolitan lifelong education policies.
KEYWORDS
Lifelong learning city, metropolitan learning citie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even key policy categories, extended strategies and plans
댓글 없음:
댓글 쓰기